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챌린지영어 올포스 7단원 함축의미 문제 / 문제+ 해설

 

 

1 EBS 올림포스 전국연합 학력평가 기출문제집 영어독해 (1) Page 054
7 함축 의미 추론
# 07 # 054 # 001 #문항코드 21453-0079

 

[문제]

밑줄 친 by reading a body language dictionary가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Authentic, effective body language is more than the sum of individual signals. Whenp people work from this rote-memory, dictionary approach, they stop seeing the bigger picture, all the diverse aspects of social perception. Instead, they see a person with crossed arms and think, “Reserved, angry.” They see a smile and think, “Happy.” They use a firm handshake to show other people “who is boss.” Trying to use body language by reading a body language dictionary is like trying to speak French by reading a French dictionary. Things tend to fall apart in an inauthentic mess. Your actions seem robotic; your body language signals are disconnected from one another. You end up confusing the very people you’re trying to attract because your body language just rings false.

by learning body language within social context

by comparing body language and French

with a body language expert’s help

without understanding the social aspects

in a way people learn their native language

 

 

[정답/모범답안]

4

 

[해설]

{소재}

몸짓 언어의 기계적인 해석의 문제점

 

{해석}

실효성 있는, 효과적인 몸짓 언어는 개별 전달 신호의 합계 이상이다. 사람들이 사전식 접근법과 같은 기계적 암기로부터 의사 전달을 할 때, 그들은 더 큰 그림, 즉 사회적 인식의 모든 다양한 측면을 보지 못하게 된다. 대신, 그들은 팔짱을 낀 사람을 보고 과묵하고, 화가 난것으로 생각한다. 그들은 미소를 보고 행복한것으로 생각한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누가 윗사람인가를 보여 주기 위해 세게 악수를 한다. 몸짓 언어 사전을 읽어서 몸짓 언어를 사용하려고 하는 것은 프랑스어 사전을 읽어서 프랑스어를 말하려고 하는 것과 같다. (의미 구성의) 요소들이 실효성 없는 상태로 분리되어 버리는 경향이 있다. 당신의 행동은 로봇처럼 어색해 보인다. 당신의 몸짓 언어 신호는 서로 단절된다. 당신의 몸짓언어가 잘못 전달되었기 때문에 결국에는 당신이 마음을 끌려고하는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해설}

사회적 인식의 이해 없이 팔짱을 낀 사람을 화가 난 사람으로, 미소 짓는 사람을 행복한 사람으로 인식하는 것처럼 기계적으로 몸짓 언어를 해석하는 것의 문제점을 프랑스어 사전 읽기로 비유하고 있으므로, 밑줄 친 부분이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사회적 측면에 대한 이해 없이이다.

사회적 맥락 안에서 몸짓 언어를 배움으로써

몸짓 언어와 프랑스어를 비교함으로써

몸짓 언어의 전문가의 도움으로

사람들이 그들의 모국어를 배우는 방식으로

 

{구문 및 해석 가이드}

They use a firm handshake [to show other people “{who is boss}].”

그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누가 윗사람인가”} 를 보여 주기 위해] 세게 악수를 한다.

[ ]는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의 to부정사구이고, []show의 직접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이다.

[Trying to use body language by reading a body language dictionary] is like [trying to speak French by reading a French dictionary].

[몸짓 언어 사전을 읽어서 몸짓 언어를 사용하려고 하는 것은] [프랑스어 사전을 읽어서 프랑스어를 말하려고 하는 것과] 같다.

첫 번째 [ ]는 주어 역할을 하는 동명사구이고, 두 번째 [ ]는 전치사 like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동명사구이다. by -ing‘~함으로써라는 뜻이다.

 

 

# 07 # 056 # 001 #문항코드 21453-0080

 

[문제]

밑줄 친 have that same scenario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re are more than 700 million cell phones used in the US today and at least 140 million of those cell phone users will abandon their current phone for a new phone every 14 18 months. I’m not one of those people who just “must” have the latest phone. Actually, I use my cell phone until the battery no longer holds a good charge. At that point, it’s time. So I figure I’ll just get a replacement battery. But I’m told that battery is no longer made and the phone is no longer manufactured because there’s newer technology and better features in the latest phones. That’s a typical justification. The phone wasn’t even that old; maybe a little over one year? I’m just one example. Can you imagine how many countless other people have that same scenario? No wonder cell phones take the lead when it comes to “e-waste.”

have frequent trouble updating programs

cannot afford new technology due to costs

spend a lot of money repairing their cell phones

are driven to change their still usable cell phones

are disappointed with newly launched phone models

 

[정답/모범답안]

4

 

[해설]

{소재}

고장나지 않은 휴대 전화 교체의 문제점

 

{해석}

오늘날 미국에서 사용되는 휴대 전화가 7억 개가 넘고 이 휴대전화 사용자들 중 적어도 14천만 명은 새 휴대 전화를 위해 14-18개월마다 그들의 현재 휴대 전화를 버릴 것이다. 나는 최신휴대 전화를 반드시가져야 하는 그런 사람들 중 한 명은 아니다. 사실 나는 배터리가 더 이상 충전이 잘되지 않을 때까지 내 휴대전화를 사용한다. 그때라면 때가 된 것이다. 그래서 나는 그저 교체용 배터리를 사야겠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나는 그 배터리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고, 최신 휴대 전화에 더 새로운 기술과 더 나은 기능들이 있기 때문에 그 휴대 전화는 더 이상 제조되지 않는다고 듣게 된다. 그것이 전형적인 정당화이다. 그 휴대 전화는 심지어 그렇게 오래되지 않았다. 아마도 1년 좀 넘게? 나는 단지 한 사례일 뿐이다. 얼마나 수많은 다른 사람들이 이와 똑같은 시나리오를 갖는지 당신은 상상할 수 있는가? ‘전자 쓰레기에 대해서는, 휴대 전화가 선두에 있다는 것은 놀랍지 않다.

 

{해설}

새로운 기술과 기능들이 추가되기 때문에 쓰고 있던 휴대전화가 더 이상 생산되지 않아서 새로운 휴대 전화로 교체해야 한다는 것은 전형적인 정당화라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밑줄 친 부분이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여전히 사용 가능한 휴대 전화를 바꾸라고 하는지이다.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데 잦은 문제가 있는지

비용 때문에 새로운 기술에 투자할 여유가 없는지

휴대 전화를 수리하는 데 많은 돈을 쓰는지

새로 나온 전화기 모델에 실망하는지

 

{구문 및 해석 가이드}

I’m not one of those people [who just “must” have the latest phone].

나는 [최신 휴대 전화를 반드시가져야 하는] 그런 사람들 중 한 명은 아니다.

[ ]those people을 수식하는 관계절이다.

But I’m told [that battery is no longer made and the phone is no longer manufactured because there’s newer technology and better features in the latest phones].

그러나 나는 [그 배터리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고, 최신 휴대 전화에 더 새로운 기술과 더 나은 기능들이 있기 때문에 그 휴대 전화는 더 이상 제조되지 않는다고] 듣게 된다.

[ ]told의 직접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이다. 원래 문장은 They tell me that ~.로 간접목적어가 수동태의 주어로 쓰인 수동태 문장이다.

 

{어휘 및 어구}

at least 적어도

abandon 버리다

current 현재의

latest 최신의

charge 충전

figure 생각하다, 판단하다

manufacture 생산하다

feature 기능

typical 전형적인

justification 정당화

example , 사례

countless 무수한

take the lead 선두에 있다

when it comes to ~에 관한 한

 

 

# 07 # 056 # 002 #문항코드 21453-0081

 

[문제]

밑줄 친 rise to the bait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We all know that tempers are one of the first things lost in many arguments. It’s easy to say one should keep cool, but how do you do it? The point to remember is that sometimes in arguments the other person is trying to get you to be angry. They may be saying things that are intentionally designed to annoy you. They know that if they get you to lose your cool you’ll say something that sounds foolish; you’ll simply get angry and then it will be impossible for you to win the argument. So don’t fall for it. A remark may be made to cause your anger, but responding with a cool answer that focuses on the issue raised is likely to be most effective. Indeed, any attentive listener will admire the fact that you didn’t “rise to the bait.”

stay calm

blame yourself

lose your temper

listen to the audience

apologize for your behavior

 

[정답/모범답안]

3

 

[해설]

{소재}

논쟁에서 화를 내지 않는 것의 중요성

 

{해석}

우리 모두는 많은 논쟁에서 저지르는 첫 번째 중의 하나가 화내는 것이라는 점을 안다. 침착함을 유지하라고 말하는 것은 쉽지만, 어떻게 침착함을 유지하는가? 기억해야 할 점은 때로는 논쟁에서 상대방은 여러분을 화나게 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그들은 여러분을 화나게 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고안한 말을 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들은 만약 자신들이 여러분의 침착함을 잃게 한다면 여러분은 어리석게 들리는 말을 할 것이며, 그저 화를 내고 그러면 여러분이 그 논쟁에서 이기는 것은 불가능하리라는 것을 안다. 그러니 속아 넘어가지 마라. 여러분의 화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어떤 말을 할지도 모르지만, 제기된 문제에 초점을 맞춘 침착한 답변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 같다. 정말로, 주의 깊은 청자라면 누구라도 여러분이 미끼를 물지않았다는 사실에 감탄할 것이다.

 

{해설}

논쟁에서 화나게 만들려고 의도적으로 고안한 말을 할 수도 있지만, 거기에 속아 넘어가지 말고 침착하게 대응하라는 내용의 글이다. 여기서 미끼를 무는것은 상대방이 여러분을 화나게 만드는 말을 하는 것을 말하므로, 밑줄 친 부분이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화를 내다이다.

침착하다

자신을 탓하다

청중의 말을 듣다

여러분의 행동에 대해 사과하다

 

{구문 및 해석 가이드}

We all know [that tempers are one of the first things {lost in many arguments}].

우리 모두는 [{많은 논쟁에서 저지르는} 첫 번째 중 하나가 화내는 것이라는 점을] 안다.

[ ]know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이고, { }the first things를 수식하는 과거분사구이다.

They know [that if they get you to lose your cool you’ll say something {that sounds foolish}; you’ll simply get angry and then it will be impossible for you {to win the argument}].

그들은 [만약 자신들이 여러분의 침착함을 잃게 한다면 여러분은 {어리석게 들리는} 말을 할 것이며, 그저 화를 내고 그러면 여러분이 {그 논쟁에서 이기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라는 것을] 안다.

[ ]know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이고, 첫 번째 { } something을 수식하는 관계절이다. it은 형식상의 주어이고, 두 번째 { }가 내용상의 주어이다. for youto부정사구의 의미상 주어이다.

 

{어휘 및 어구}

temper

argument 논쟁

point 요점

intentionally 의도적으로

annoy 화나게 하다

lose one’s cool 침착함[냉정]을 잃다

fall for 속아 넘어가다

make a remark 말을 하다

respond 대응하다

issue 쟁점, 주제

raise 제기하다

effective 효과적인

indeed 정말로

attentive 주의 깊은

admire 감탄하다

rise to the bait 미끼를 물다

calm 침착한

blame 비난하다

lose one’s temper 화를 내다

audience 청중, 관중

apologize 사과하다

behavior 행동

 

 

# 07 # 057 # 003 #문항코드 21453-0082

 

[문제]

밑줄 친 learn and live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re is a critical factor that determines whether your choice will influence that of others: the visible consequences of the choice. Take the case of the Adélie penguins. They are often found strolling in large groups toward the edge of the water in search of food. Yet danger awaits in the icy-cold water. There is the leopard seal, for one, which likes to have penguins for a meal. What is an Adélie to do? The penguins’ solution is to play the waiting game. They wait and wait and wait by the edge of the water until one of them gives up and jumps in. The moment that occurs, the rest of the penguins watch with anticipation to see what happens next. If the pioneer survives, everyone else will follow suit. If it perishes, they’ll turn away. One penguin’s destiny alters the fate of all the others. Their strategy, you could say, is “learn and live.
*perish 죽다

occupy a rival’s territory for safety

discover who the enemy is and attack first

share survival skills with the next generation

support the leader’s decisions for the best results

follow another’s action only when it is proven safe

 

[정답/모범답안]

5

 

[해설]

{소재}

다른 사람의 선택을 통한 생존

{해석}

여러분의 선택이 다른 사람들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한 요인이 있는데, 바로 그 선택의 가시적 결과들이다. Adélie 펭귄들의 사례를 들어 보자. 그들이 먹이를 찾아 물가를 향해 큰 무리를 지어 거니는 것이 종종 발견된다. 하지만 얼음이 차가운 물에는 위험이 기다리고 있다. 한 예로, 펭귄들을 먹이로 먹는 것을 좋아하는 표범물개가 있다. Adélie 펭귄은 무엇을 할까? 펭귄의 해결책은 대기 전술을 펼치는 것이다. 그들은 자기들 중 한 마리가 포기하고 뛰어들 때까지 물가에서 기다리고, 기다리고 또 기다린다. 그것이 일어나는 순간, 나머지 펭귄들은 다음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를 보기 위해 기대감을 갖고 지켜본다. 만약 그 선두 주자가 살아남으면, 다른 모두가 그대로 따를 것이다. 만약 그것이 죽는다면, 그들은 돌아설 것이다. 한 펭귄의 운명은 모든 나머지 펭귄들의 운명을 바꾼다. 여러분은 그들의 전략이 배워서 산다라고 말할 수 있다.

 

{해설}

Adélie 펭귄은 자신들의 포식자인 표범물개의 위험을 해결하기 위해 대기 전술을 펼치는데 그것은 그들 중 한 마리가 기다림을 포기하고 물속으로 뛰어들 때까지 기다리고 기다리는 것이다. 물속에 뛰어든 펭귄이 죽는다면 그들은 돌아설 것이므로 밑줄 친 부분이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안전하다는 것이 증명 될 때만 다른 이의 행동을 따른다이다.

안전을 위해 라이벌의 영역을 차지한다

천적이 누구인지 발견하고 먼저 공격한다

다음 세대와 생존 기술을 공유한다

최상의 결과를 위해 지도자의 결정을 지지한다

 

{구문 및 해석 가이드}

There is a critical factor [that determines {whether your choice will influence that of others}]: the visible consequences of the choice.

[{여러분의 선택이 다른 사람들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한 요인이 있는데, 바로 그 선택의 가시적 결과들이다.

[ ]a critical factor를 수식하는 관계절이고, { }determines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이다. thatchoice 를 대신하는 대명사이다.

There is the leopard seal, for one, [which likes to have penguins for a meal].

한 예로, [펭귄들을 먹이로 먹는 것을 좋아하는] 표범물개가 있다.

[ ]the leopard seal을 부연 설명하는 관계절이다.

 

{어휘 및 어구}

critical 중요한

factor 요인

determine 결정하다

influence 영향을 끼치다

visible 가시적인

consequence 결과

take the case of ~의 사례를 들다

stroll 거닐다, 산책하다

edge 가장자리

in search of ~을 찾아

danger 위험

await 기다리다

leopard seal 표범물개

solution 해결책

occur 일어나다

rest 나머지

anticipation 기대감

pioneer 선구자

survive 살아남다

follow suit 방금 남이 한 대로 따라하다

destiny 운명

alter 바꾸다

fate 운명

strategy 전략

occupy 차지하다

territory 영역

safety 안전

attack 공격하다

share 공유하다

generation 세대

support 지지하다

result 결과

 

# 07 # 057 # 004 #문항코드 21453-0083

 

[문제]

밑줄 친 at the “sweet spot”이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For almost all things in life, there can be too much of a good thing. Even the best things in life aren’t so great in excess. This concept has been discussed at least as far back as Aristotle. He argued that being virtuous means finding a balance. For example, people should be brave, but if someone is too brave they become reckless. People should be trusting, but if someone is too trusting they are considered gullible. For each of these traits, it is best to avoid both deficiency and excess. The best way is to live at the “sweet spot” that maximizes well-being. Aristotle’s suggestion is that virtue is the midpoint, where someone is neither too generous nor too stingy, neither too afraid nor recklessly brave.
*excess 과잉 **gullible 잘 속아 넘어가는

at the time of a biased decision

in the area of material richness

away from social pressure

in the middle of two extremes

at the moment of instant pleasure

 

[정답/모범답안]

4

 

[해설]

{소재}

부족과 과잉 사이의 중도의 중요성

 

{해석}

인생의 거의 모든 것에는, 좋은 것에도 지나침이 있을 수 있다. 심지어 인생에서 최상의 것도 지나치면 그리 좋지 않다. 이 개념은 적어도 아리스토텔레스 시대만큼 오래전부터 논의되어 왔다. 그는 미덕이 있다는 것은 균형을 찾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용감해져야 하지만, 만약 어떤 사람이 너무 용감하면 그 사람은 무모해진다. 사람들은 (타인을) 신뢰해야 하지만, 만약 어떤 사람이 (타인을) 너무 신뢰한다면 그들은 잘 속아 넘어가는 사람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각각의 특성에 있어, 부족 과 과잉 둘 다를 피하는 것이 최상이다. 최상의 방법은 행복을 극대화하는 스위트 스폿(최고의 상황)에 머무르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미덕은 너무 관대하지도 너무 인색하지도, 너무 두려 하지도 너무 무모하게 용감하지도 않은 중간 지점에 있다고 말한다.

 

{해설}

인생에서 최상의 것도 지나치면 좋지 않으므로 우리는 부족과 과잉 둘 다를 피하는 것이 최상이라는 내용의 글이다. 따라서 밑줄 친 부분이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두 극단 사이의 중간이다

편향된 결정의 시간에

물질적인 풍요함의 영역에서

사회적 압박으로부터 떨어져서

즉각적인 즐거움의 순간에

 

{구문 및 해석 가이드}

He argued [that {being virtuous} means {finding a balance}].

그는 [{미덕이 있다는 것은} {균형을 찾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 ]argued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이다. 첫 번째 { }는 명사절의 주어 역할을 하는 동명사구이고, 두 번째 { } means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동명사구이다.

For each of these traits, it is best [to avoid both deficiency and excess].

이러한 각각의 특성에 있어, [부족과 과잉 둘 다를 피하는 것이] 최상이다.

it은 형식상의 주어이고, [ ]가 내용상의 주어이다.

 

{어휘 및 어구}

concept 개념

at least 적어도

argue 논쟁하다, 논의하다

virtuous 도덕적인

reckless 무모한

trusting 잘 믿는

trait 특성

avoid 피하다

deficiency 결핍

sweet spot (골프·테니스·야구 등에서) 공을 치기에 가장 효과적인 지점

maximize 최대화하다

virtue 미덕

midpoint 중간 지점

generous 관대한

stingy 인색한

biased 편향된

material 물질적인

pressure 압력

extreme 극단

instant 즉각적인

EBS 올림포스 전국연합 학력평가 기출문제집 영어독해 (고1) 7단원 함축의미 문제.hwp
0.02MB